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인 이유, 빅히어로(Big Hero)

반응형
반응형

2023-11-12. 일. 흐림. -2

 

월트디즈니사의 애니 빅히어로가 아이들 애니로 생각하고 관심을 갖지 않다가 오늘 보았습니다.

그리고 미국이 왜 세계 최고의 선진국인지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우리나라도 선진국이라고 입바른 소리는 많이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이런 영화를 만들 여력이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선진국이기는 하지만, 미국보다는 한참 뒤진 선진국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약간 불만을 가져봅니다.

 

필자가 예전에 미드 베틀스타 갈락티카.. 영화 베틀스타 갈락티카가 아니라 미드 시리즈 0, 1, 2, 3, 4까지 연재된 드라마를 보고 너무나 감동, 감격, 흥분, 전율 등을 느껴서 이 드라마를 만든 감독을, 인류의 스승이라고 부르는 석가모니, 예수, 공자, 맹자 등등 모든 성인을 다 합친 것보다 더 큰 성인이라고 표현을 했는데요,..

 

오늘 소개하는 애니 빅히어로는 사실 그냥 3D 영화일 뿐입니다.

 

솔직히 필자는 그 유명한 오지어게임을 못 본 사람인데요, 솔직히 국산 영화는 오늘 소개하는 빅히어로 등의 미국 영화화는 솔직히, 솔직히, 도저히, 절대로, 비교 자체가 불가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었다는 거짓말이 유튜브 등에 도배가 되어 우리나라 국민들은 실제로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는 착각에 빠져 사는 사람들이 매우, 대단히 많은데요, 단순히 국민 소득만 가지고 논한다면 우리나라도 선진국이 된 것은 맞지만, 오늘 소개하는 미국 월트디즈니사의 빅히어로 같은 영화를 만들 수 있어야 진정한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감히 필자는 생각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오늘 소개하는 빅히어로의 한 장면 혹은 일부 장면은 더 잘 만들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자에 소개한 미드 베틀스타갈락티카, 그리고 오늘 소개하는 빅히어로 등의 영화는 단순히 영화를 잘 만들었다는 기준으로 영화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무얼까, 어떻게 인간의 머리로 이런 생각을 하고 이런 구상을 하고 이런 영화를 만들 수 있는 것인지 솔직히 아직은 우리나라가 갈 갈이 너무나도 멀다는 생각에 아득하기만 합니다.

 

천재와 바보는 솔직히 종이 한 장 차이이지만 그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것이 솔직히 따지고 보면 하늘과 땅 만큼이나 큰 차이이니 문제죠..

 

다시 말해서 단순히 영화 제작자가 아니라 천재 중의 천재, 그러한 천재 중의 천천재가 아니면 만들 수 없다고 감히 단언합니다.

따라서 이런 영화를 만든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천재, 아니 천천재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

 

우리나라는 우선 일본을 조금만 두둔을 하면 경련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부터 아직은 갈 길이 너무나 멉니다.

 

일본에서 제작된 공각기동대 등의 영화 역시 아직은 우리나라는 넘사벽이죠..

 

반도체로 세계를 제패한 삼성정자가 있는 나라 대한민국이지만, 왜 이런 것은 못 만드는 것인지, 안 만드는 것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지만, 분명한 것은 국산 영화는 아직까지는 이런 영화에 견주기에는 너무나 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년간 해외로 나가는 여행객이 655만명,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 온 관광객은 320여 만 명이라고 나오네요..

 

 

우리나라의 수출입 통계로만 따지만, 이탈리아와 옥신각신하지만, 물론 코로나 이전 수준이지만, 이탈리아의 해외 관광객 입국자 수는 2,000만 명이 넘는다고 알고 있지만, 지금 검색을 해 보니 2018년에 무려 6 210만 명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는 착각에 빠져서 해외에 나가서 어글리 코리안 소리를 듣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심히 우려스럽고요, 삼가 일본을 추월하고 남북이 통일이 되는 그 날 까지는 쉬지말고 뛰어야 합니다.

 

그래서 훗날 일본의 공각기동대, 야마토 전함, 미국의 베틀스타갈락티카, 그리고 오늘 소개하는 빅히어로 등의 영화를 압도하는 영화가 나오는 시기가 되면 비로소 우리나라도 미국이나 일본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선진국, 진정한 선진국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